PH IN.TRO

대한민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기반,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표준화사업 종료

지난해 보건복지부의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의 도입률은 100%에 가깝다고 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의 EMR 도입률은 100%이고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94%, 300병상 미만은 97.5%, 병원급은 90.5%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병원의 정보화라는 1차 목표 달성에 성공하였지만 단순히 정보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데이터를 모으는 단계에서 벗어나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이 표준화입니다. 병원마다 다른 코드와 임상 용어를 사용하다 보니 상호운영성 확보가 어렵고 데이터 표준화가 병원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다 보니 지금까지는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고 이를 관리할 전문 인력이나 예산도 부족한 형편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도입한 것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인증제입니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인증제는 국내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합성 검증을 통해 업체의 표준 제품 개발을 유도하여 시스템의 상호호환성 확보와 품질 향상으로 의료소비자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로서 지난해 6월부터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의료법' 제23조의2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인증기준, 인증방법, 인증절차 등 인증제도 운영 업무 전반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해 지난 2017년 인증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인증의 종류로는 제품인증과 사용인증이 있는데 제품인증은 의료정보업체 또는 의료기관에서 개발한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이 인증기준에 부합함을 인증하는 것이고, 사용인증은 의료기관이 제품인증을 받은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인증기준과 관련된 기능의 변경 없이 사용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것입니다. 평화이즈가 지난해 국내 최초 EMR 인증을 받은 것이 바로 제품인증(인증유형: 유형lll)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EMR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민간 기관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민간 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제도 정착을 위해 개발된 표준 프레임워크를 의료기관에 확산 적용하기 위한 기술지원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2020년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인증기준 표준 개발 및 확산 지원 사업’과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표준화 지원 사업’와 같은 참여 사업을 통해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평화이즈는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표준화 지원 사업’에 참여하여 EMR 표준프레임워크의 안정적, 지속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 기반환경 보완 및 개선, EMR 인증제 활성화를 위한 FHIR 표준 기반의 표준 기능 및 표준 서식을 확산하고 체계를 마련하는데 앞장섰습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이 마련됐습니다. 지금까지의 국가보건의료용어표준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데이터 활용에 유리한 구조의 국제 용어·기술 표준을 적극 수용해 다양한 데이터 결합·활용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표준화 대상 범위를 확장하고, 현장 활용 확산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러한 표준화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생태계를 구축하여 의료서비스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정밀의료 등 미래 의료 구현과 관련된 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5개년 로드맵 (보건복지부 2021~2025)

5대 핵심 과제

방안

①의료용어표준 - 국제용어표준 연계 K-표준용어체계 마련
②국제표준 차세대 전송기술(FHIR) 도입
EMR인증제 용어ᆞ기술 표준 연계 (14개 의료기관 참여)
③미래형 데이터 표준 마련 - 의료데이터 범위 확대(유전체, PGHD 등)
④표준화 선도사례 실증ᆞ확산 - EMR표준화, 데이터 중심병원
마이데이터 플랫폼구축 (서울성모, 인천성모, 경희의료원)
⑤표준화 추진기반 강화 - 표준화 국내외 협력체계 강화, 전문인력 양성

※ PGHD(Patient(Person)-Generated Health Data : 웨어러블, 모바일 앱을 통해 개인이 작성·기록·수집하는 증상, 생체 인식 데이터, 라이프로그 등의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