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 IN.TRO

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이 필요한가요?

지구 온난화로 폭염, 폭설, 태풍, 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높은 화석연료 비중과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도 최근 30년 사이에 평균 온도가 1.4℃ 상승하며 온난화 경향이 더욱 심해졌는데요.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 의무를 부여하는 ‘교토의정서’ 채택(1997년)에 이어,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을 2015년 채택했고,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2016년 11월 4일 협정이 발효됐습니다. 우리나라는 2016년 11월 3일 파리협정을 비준하였습니다. 파리협정의 목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2℃ 보다 훨씬 아래(well below)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할 경우, 폭염 한파 등 보통의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상승 온도를 1.5℃로 제한할 경우 생물다양성, 건강, 생계, 식량안보, 인간 안보 및 경제 성장에 대한 위험이 2℃보다 대폭 감소합니다. 지구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그럼,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핵심 키워드인 탄소중립이란 무엇일까요? 탄소중립=순 배출제로(Net Zero)라는 뜻으로 배출제로와 달리 탄소 배출을 전혀 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 인간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탄소의 배출량만큼 흡수하여 순 배출량을 '0'을 만들자는 노력을 말합니다. 배출한 탄소를 삼림 복구 혹은 탄소 포집(화석연료 사용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모으는 기술) 등으로 흡수해야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탄소중립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 탄소중립이 실현되었을 때 우리나라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내용을 전망하는 것으로서 전환·산업 등 부문멸 정책 방향과 전환 속도를 가늠하는 나침반의 의미를 가집니다.

탄소중립이라는 대전환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을 마련하였습니다.

비전
“적응적(Adaptive) 감축”에서 “능동적(Proactive) 대응”으로
: 탄소중립‧경제성장‧삶의 질 향상 동시 달성
3+1 전략추진
3대 정책 방향
적응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기회
유망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공정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10대 과제
1. 에너지 전환 가속화
2. 고탄소 산업구조 혁신
3. 미래모빌리티로 전환
4. 도시‧국토 저탄소화
1. 유망 산업 육성
2. 혁신 생태계저변 구축
3. 순환경제 활성화
1. 취약 산업·계층 보호
2. 지역중심의탄소중립 실현
3. 탄소중립 사회에대한 국민인식 제고
더하기 아이콘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강화
▪재정 ▪녹색금융 ▪R&D ▪국제 협력
⇒ 탄소가격 시그널 강화 + 탄소중립 분야 투자 확대 기반 구축
▲ 출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사회 전 부문의 구조적 전환을 수반하는 어려운 과제이지만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길, 가야만 하는 길입니다." (-윤순진 2050 탄소중립위원회 공동위원장-)

우리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잘 알고 있고 탄소중립의 필요성도 잘 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을 우리가 어떻게 행동으로 구체적으로 실천해 낼 수 있는지가 중요하고, 그 과정들을 우리가 함께 잘 공유하고 동참을 이끌어내야 할 것입니다. 이제는 인류가 기후변화를 통제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결코 쉽지 않은 목표이지만 우리는 반드시 해내야 합니다.

사무실 속 실천 하나!

  • 사용하지 않는 조명은 OFF, 플러그는 OUT!
  • 노트북은 퇴근시 전원 차단!
  • 점심시간, 야간시간에는 일괄 소등하되, 필요한 부분만 점등!